문의 및 가입상담
1577-3871
24시 임종긴급(출동) 1644-4480
무료상담신청
24시간 무료로 간편하게 상담하세요.
성   함  
연락처  
  개인정보 수집·이용동의   내용


수의의 유래



수의 : 염습(殮襲)할 때 시체에 입히는 옷

세제지구(歲製之具)라고도 한다. 유교에 따른 의식을 치르기 전 한국의 옛 수의가 어떠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사람이 죽어서 입는 옷이니만큼 당시의 성장(盛裝)으로써 수의를 삼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수의는 주로 윤달에 마련하는데 하루에 완성하여야 하고 완성된 것은 좀이 쓸지 않게 담뱃잎이나 박하 잎을 옷 사이에 두어 보관하며, 칠월 칠석에 거풍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관(冠) • 혼(婚) • 상{喪) • 제(祭)의 사례(四禮)를 유교, 특히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준하여 거행하였다. 수의는 <사례편람(四禮便覽)> 상례조(喪禮條)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남자는 복건(幅巾)·망건(網巾)·심의(深衣) 또는 단령(團領)·답(褡:소매 없는 氅衣) 또는 직령(直領)·대(帶:條帶)·과두(裹頭:배와 허리를 싸는 것), 포오(袍襖:中赤莫)와 같은 설의[褻衣], 한삼(汗衫:몸에 다는 小衫, 속칭 적삼)·고(袴)·단고(單袴:속바지)·소대(小帶:허리띠)·늑백(勒帛:속칭 행전)·말(襪)·구(屨)·엄(掩:裹首)·충이(充耳)·멱목(幎目:覆面)·악수(握手:裹手)를 갖추었다.
여자의 경우는, 사(纚)·심의 또는 단의(褖衣) 또는 원삼(圓衫)·장오자(長襖子:속칭 長衣)·대·삼자(衫子:속칭 唐衣)·포오(속칭 저고리)·소삼(小衫:적삼)·과두(裹肚:속칭 요대)·상(裳)·고·단고·말·채혜(彩鞋)·엄·충이·명목·악수 등이다.
위의 수의는 관습화하여 오늘날에도 특수한 종교의식에 의한 염습 외에는 이를 따르며, 후박(厚薄)이 있을 뿐이다.

윤달수의

윤달은 일반적으로 전통 태음력(太陰曆])에서 19년 동안 7번의 윤달을 넣어 책력(冊曆)과 계절(季節)를 일치시켰는데 명칭은 윤월(閏月),윤삭(閏朔),윤여(閏餘) 등으로 불린다. 윤달은 일 년 중 한 달이 가외로 더 있는 달이기에 모든 일매 부정(不淨)을 타거나 액(厄)이 끼이지 않는 달로 인식되어 왔다. 그래서 주로 집안의 수리나 이사(移徙)를 하기도 하고 특히 혼례(婚禮) 를 올리는 날로 잡거나 집안 어른의 수의(壽衣) 를 만들어 놓으면 좋다 하여 윤달에 많이 거행한다.

가진수의란?

격식을 갖춘 수의라는 뜻으로 수의 복을 포함한 부속 류 일체를 말한다.

평수의란?

가진 수의에서 장매 천금(이불)과,지금(요) 도포(남) 또는 원삼(여)이 제외된 수의로서 엣날 평민 이하 하류계층의 사람들이 이용하던 수의이며,근래에는 행려자 등에서 사용한다.

세(細)란?

올의 가늘고 굵음을 뜻하며 1세는 80가닥의 올을 말한다.

수의가 큰 이유는?

수의는 일반의류에 비해 매우 크게 만드는데 그 이유는 고인(故人) 에게 수의를 입힐 때 고인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고인을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이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가진 수의를 만들기 위한 삼베의 양?

남자용과 여자용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략 195자 {쪽34~37cm)정도가 소요된다.

연간 생산되는 수의 량

수의의 주 원사인 마는 대마초의 생산를 금지하고자 하는 국가의 의지에 의해 마의 생산은 제한이 되고 있고, 그로 인하여 수의 생산량도 한 해에 4,000 ~ 5,000 여벌의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생산량이 극히 제한이 된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기에 국산 수의의 가격이나 공급 자체는 극히 소규모로 이뤄지고 있으며, 생산량의 대부분은 선점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일반인이 구입하기에는 상당히 어렵다.
한 해에 사망자수는 매년 약간의 증가 추세이지만 25만 여 명이 사망신고 되어지고 있는데 이에 비한다면 수의 사용량의 99% 이상이 수입에 의해 이뤄진다고 봐야 할 정도이다.
그 수입의 대부분은 중국산이며, 수의 구입 시 국산임을 강조한다고 해도 국산임을 입증하지 않는 이상은 거의 수입산 이라고 봐도 무방하다.